2024.06.02 (일)

  • 맑음속초14.2℃
  • 맑음17.1℃
  • 구름조금철원15.7℃
  • 맑음동두천16.8℃
  • 맑음파주16.1℃
  • 맑음대관령9.5℃
  • 맑음춘천17.8℃
  • 맑음백령도16.1℃
  • 맑음북강릉13.3℃
  • 맑음강릉15.7℃
  • 맑음동해14.6℃
  • 맑음서울19.7℃
  • 맑음인천18.2℃
  • 흐림원주17.8℃
  • 맑음울릉도13.4℃
  • 맑음수원17.5℃
  • 흐림영월17.4℃
  • 흐림충주17.1℃
  • 맑음서산17.5℃
  • 구름조금울진15.6℃
  • 맑음청주21.5℃
  • 맑음대전18.8℃
  • 맑음추풍령17.1℃
  • 흐림안동15.8℃
  • 구름많음상주17.8℃
  • 구름많음포항17.5℃
  • 맑음군산17.9℃
  • 구름조금대구18.2℃
  • 맑음전주19.7℃
  • 흐림울산16.8℃
  • 구름조금창원18.2℃
  • 구름많음광주19.9℃
  • 구름많음부산17.8℃
  • 구름많음통영17.8℃
  • 구름많음목포18.4℃
  • 구름많음여수19.0℃
  • 구름조금흑산도17.0℃
  • 구름많음완도18.9℃
  • 맑음고창16.9℃
  • 구름많음순천15.2℃
  • 맑음홍성(예)18.3℃
  • 맑음17.8℃
  • 구름많음제주19.4℃
  • 구름많음고산17.8℃
  • 구름많음성산19.5℃
  • 구름많음서귀포19.8℃
  • 구름많음진주17.5℃
  • 맑음강화15.4℃
  • 구름조금양평16.9℃
  • 맑음이천16.5℃
  • 맑음인제14.3℃
  • 구름조금홍천17.3℃
  • 흐림태백12.6℃
  • 흐림정선군14.4℃
  • 흐림제천17.4℃
  • 맑음보은15.5℃
  • 맑음천안17.2℃
  • 맑음보령15.7℃
  • 맑음부여16.9℃
  • 맑음금산17.1℃
  • 맑음17.8℃
  • 구름조금부안17.5℃
  • 구름조금임실15.2℃
  • 맑음정읍16.9℃
  • 맑음남원17.4℃
  • 구름조금장수14.1℃
  • 맑음고창군15.1℃
  • 맑음영광군16.4℃
  • 구름조금김해시17.7℃
  • 구름많음순창군16.7℃
  • 구름조금북창원18.6℃
  • 구름많음양산시18.9℃
  • 구름많음보성군19.8℃
  • 구름많음강진군19.0℃
  • 구름많음장흥17.0℃
  • 구름많음해남16.9℃
  • 구름많음고흥17.6℃
  • 구름조금의령군18.3℃
  • 구름조금함양군17.0℃
  • 구름많음광양시18.8℃
  • 구름많음진도군15.5℃
  • 구름많음봉화14.1℃
  • 흐림영주16.7℃
  • 구름많음문경15.7℃
  • 흐림청송군13.8℃
  • 구름많음영덕14.7℃
  • 흐림의성16.5℃
  • 구름많음구미19.1℃
  • 흐림영천17.1℃
  • 구름많음경주시17.9℃
  • 구름조금거창16.8℃
  • 구름조금합천19.6℃
  • 구름많음밀양18.7℃
  • 구름조금산청18.7℃
  • 구름많음거제18.2℃
  • 구름많음남해18.1℃
  • 구름많음18.3℃
[건강칼럼] 치매만큼 주목해야하는 퇴행성 뇌질환 ‘파킨슨병’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

[건강칼럼] 치매만큼 주목해야하는 퇴행성 뇌질환 ‘파킨슨병’

KakaoTalk_20191001_114013742.jpg
▲박종규 교수 /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신경과

 [태안일보]파킨슨병은 치매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신경계 퇴행성 뇌질환이다. 주로 노년층에서 발병하지만 간혹 젊은 층에서도 나타난다. 퇴행성 뇌질환 특성상 천천히 진행되며, 증상도 서서히 시작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언제 병원에 가야할지 고민을 하다가 일상능력 장애가 뚜렷해지면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행동 느려지고, 손발 떨림 위험신호

파킨슨병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특정 신경세포가 점차 소멸되면서 나타나난다. 노화를 비롯해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병하며, 뇌병증, 뇌혈관 질환, 약물, 망간, 연탄가스 등 2차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느린 동작, 떨림, 경직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한쪽에서 시작해 다른 부위로 옮겨가거나 점차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이외에도 얼굴 표정이 줄어들고, 발성이 약해지며, 종종걸음, 균형감각 저하, 기억력 감소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잠꼬대가 동반되기도 한다. 잠을 자면서 옆 사람을 치거나 꿈에서 하는 행동을 현실에서 따라하는 수준의 잠꼬대는 파킨슨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진단 빨라야 삶의 질 유지

파킨슨병을 조기에 발견해야 하는 이유는 진단이 빠를수록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더 나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킨슨병 초기에는 약물요법 이외에 환경적 요인 및 생활습관 개선, 운동 등의 노력으로 경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병이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 등 합병증이나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예방하기 위해 초기 관리가 중요하다.

 

증상 다양해 세밀한 진찰 필요

파킨슨병은 신경계 여러 부위를 침범하면서 증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세밀한 신경학적 진찰이 필요하다. 혈액, 소변, 심전도, X-ray 등 전신적인 내과적 검사와 MRI 등 정밀검사에서 다른 뇌질환이 발견되지 않으면 파킨슨병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방사선동위원소를 활용한 PET-CT검사를 통해 뇌의 도파민 수용체를 직접 촬영하여 쉽게 파킨슨병을 확진할 수 있다.

 

물리치료-약물치료-뇌심부자극술

파킨슨병의 치료 과정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한다. 첫 번째는 물리치료다. 파킨슨병 초기 환자 중 일상생활과 운동기능에 큰 문제가 없는 경우엔 물리치료를 통해서 증상 악화를 막을 수 있다. 두 번째는 대표적인 치료법인 약물치료다. 약물로 조기에 치료를 시작할 경우 병의 진행을 막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점차 효과가 떨어지고, 약물의 농도가 과하면 이상 운동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수술적 치료인 뇌심부자극술이다. 이상 운동신호를 차단해서 신체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것이다. 약물치료로도 증상 조절이 어려울 경우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수술 후에도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파킨슨병은 주변에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 노인성 질환이다. 아직까지 완치시킬 수 있는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하거나 조기에 발견해서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상이 의심되면 지체하지 않고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발병 이후에도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한다면 충분히 일상생활을 이어갈 수 있다.

 

박종규 교수 /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신경과

 

KakaoTalk_20230911_141956314.jpg

칠장주광고(칼라).jpg

씨에이미디어그룹.jp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